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경복궁


광화문을 지나 경복궁으로 들어섰다. 한복을 입은 젊은이들이 눈에 띄었다. 저마다 한복으로 치장하고 카메라를 들고 셔터를 눌러대기 바쁘다. 인파들 사이에는 외국인들도 많이 보였다. 외국인들에게 궁궐(宮闕)을 설명하는 어린 학생들도 있었다. 이들은 외국인들에게 영어로 궁궐의 역사(歷史)를 설명하고 있었는데, 대단하다는 생각과 함께 미래의 대한민국을 이끄는 주역(主役)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1395년에 세워진 경복궁은 하늘이 내린 큰 복이라는 뜻으로 경복궁(景福宮)이 되었다. 북악산을 주산으로 지금의 남산인 목멱산을 안산으로 삼아 풍수지리적인 터 잡기에서도 한양의 중심이 되었다. 정문인 광화문 남쪽으로 관청가(官廳街)인 육조거리를 조성하고 연장선 위에 근정전, 사정전, 강녕전 등 주요한 궁궐 건물들을 일렬로 놓아 왕조 국가인 조선의 상징 축으로 삼았다고 한다. (경복궁 브로셔에서)


경복궁은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후 폐허로 남았다가 조선 말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었다(1867). 정무공간을 중심부에 두고 좌우 뒤편으로 왕족들의 생활공간과 곳곳에 정원시설들을 배치되어 하나의 작은 도시를 이루었다.


하지만 경복궁은 수난이 많았다. 일제강점기에 많은 건물이 철거되어 일부만 남았고 광화문을 비롯한 외전(外殿) 일부를 헐어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어 궁궐의 정면을 막았다. 학창 시절, 경복궁에 그림을 그리러 왔었다. 복원되기 전의 청사(廳舍)의 돔이 아름다워 화폭에 담은 기억이 있으니 철없던 시절이었다.


1990년부터 복원사업이 추진되어 총독부 청사를 철거하고 원래의 홍례문(弘禮門)과 행각을 복원하였고 왕과 왕비의 침전 및 왕세자의 동궁을 비롯하여 궁궐의 정문인 광화문도 다시 복원하여 경복궁의 원래의 모습으로 회복 중이라고 한다.

경복궁 사정전을 바라보았다. 사정전은 왕의 집무실인 편전(便殿)으로 왕이 공식적인 업무를 처리하던 곳이다. 이곳에서는 신하가 약식조회인 상참(常參)을 비롯하여 경연 윤대 등 일상적인 국정 운영이 이루어졌던 곳이라고 한다.

조금 걸어 보이는 경회루는 아름다웠다. 경회루는 왕이 신하들에게 큰 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이다. 과거시험이나 기우제(祈雨祭)가 시행되기도 하였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작은 누각이었으나 태종 12년(1412)에 연못을 만들고 누각을 크게 지었으며 지금의 경회루는 고종 4년에 중건되었다고 한다.


향원정으로 왔다. 향원정은 경복궁 북쪽 후원 영역에 조성된 정자이다, 왕의 처소인 장안당, 왕비의 처소인 곤녕합, 옥호루로 이루어졌으며 곤녕합은 고종 32년 을미사변(乙未事變, 1895) 때 명성황후가 살해된 비극의 장소이다. 1909년에 없애버렸으며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미술관이 들어섰으나 지금은 복원되어 이를 알리고 있다. 왕조시대의 비극이었으니 이를 교훈 삼아 더욱 강한 나라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봄의 경복궁은 아름다웠다. 날씨도 좋아 많은 관광객으로 조선의 궁궐을 알리고 있었다.

●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가  경복궁(景福宮)에 난입하여  건청궁(乾淸宮) 곤녕합 일대에서  명성황후  민씨(閔氏)를 칼로 찔러 시해하고 시신에 석유를 뿌려 불태운 사건이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국내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천역  (0) 2024.06.26
보신각  (0) 2024.06.24
광화문 거리  (0) 2024.06.17
법화산  (0) 2024.06.14
선암사  (1) 2024.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