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구리시

고향 구리(九里)시에 다녀왔다. 구리시는 서울에 인접한 작지만 야무진 도시이다. 세상이 바뀌어 이제는 아는 사람도 없고 반겨주는 사람도 없다.

구리(九里)시에서 자랐다. 버스를 타고 서울로 통학하였는데 학교 친구들은 가끔은 촌놈이라고 놀렸다. 그때 서울은 도시화가 많이 진행되었으나 망우리(忘憂里) 넘어 사는 우리 마을은 그렇지 못하였다. 학교를 파하고 집에 오는 길은 논과 밭 사이로 비닐하우스며 잡동사니가 널려있던 그런 동네였다.

나이가 들어가며 직(職)을 가지게 되었고 고향을 떠나왔다. 그러는 사이 고향이 바뀌고 있었다. 논과 밭은 아파트 단지가 되었으며 마이카시대에 차량의 홍수로 몸살을 겪는 도시가 되어버렸다. 좋은 세상이 되었지만 쓸쓸한 마음을 감출 수 없다.


요즈음 아이들은 아파트 세대이어서 고향이라는 개념을 모른다.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라고 했던 정지용(1902-1950) 시인(詩人)은 시 향수(鄕愁)에서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감각적인 인식을 언어를 통해 새롭게 질서화하였다. 시간은 가고 기억은 쌓인다. 사람들은 이를 추억(追憶)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의 고향은 아직도 내 마음에 있다.

시인(詩人)의 시구(詩句)처럼 가슴을 울리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떨쳐버릴 수 없다. 먼바다에 살아온 연어가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역류하여 있는 힘을 다해 돌아와 산란 후 일생을 마치는 모천회귀(母川回歸)의 본능(本能)이 있듯이 우리 인간도 다르지 않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박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조름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게를 돋아 고이시는 곳,
   -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중략)...(향수(鄕愁)/정지용)
 
● 정지용(1902-1950) 시인(詩人)은 시 향수(鄕愁)에서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면서 자연에 대한 감각적인 인식을 언어를 통해 새롭게 질서화하였다. 시간은 가고 기억은 쌓인다. 사람들은 이를 추억(追憶)이라고 한다. 어린 시절의 고향은 아직도 내 마음에 있다.

'국내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 시민회관  (1) 2023.03.04
구 경기도청 구관  (1) 2023.03.03
영통역사공원과 혜령군  (2) 2023.03.01
지리산  (1) 2023.02.27
일자산 산행  (2) 202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