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기

청령포


영월 청령포(淸泠浦)에 왔다. 입구에 들어서니 청령포는 강 건너에 있다. 걸어서는 갈 수 없는 곳 청령포를 바라보았다. 조선 제6대 왕인 단종은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선위하고 상왕이 되었다. 다음 해인 1456년 성삼문 등 사육신들의 복위 움직임이 사전에 누설되었고 노산군이 되어 이곳 청령포에 유배되었다(1457).


청령포는 걸어서는 나올 수 없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있고 서쪽으로는 험준한 암벽이 솟아있어 배가 없으면 밖으로 출입할 수 없는 섬과도 같은 곳이었다. 단종은 이 적막한 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였다. 이제는 수려한 절경으로 인해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명소가 되었다. 나도 배를 타고 청령포로 들어갔다.


배에서 내려 걸어 들어오니 한옥이 눈에 들어왔다. 단종의 어소(御所)로 단종이 유배 기간 살았던 집이다. 건물을 들러보니 책을 읽고 있는 단종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책이 눈에나 들어왔을까. 그저 마음을 다스리고 있는 듯하다. 집 앞에는 단종이 유배와 머물렀음을 알리는 비각(碑閣)이 있다. 단묘재본부시유지비(端墓在本部時遺址碑)라고 하며 영조 때(1763) 세워진 것이라 한다.

어소를 나와 청령포 수림지(樹林地)를 들러보았다. 오래된 아름다운 소나무들이 가득하여 절경(絶境)이다. 그중에 보이는 커다란 관음송(觀音松)은 둘로 갈라져 서 있다,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는 이 나무에서 유배된 단종이 둘로 갈라진 나무줄기에 걸터앉아 정순왕후를 그리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또한, 관음송이 단종이 죽어가는 슬픈 모습을 지켜보았다고 하며 지금도 마을 사람들이 이 나무를 귀하게 여긴다고 한다.

단종이 올라 바라보았다는 전망대를 오르기로 하였다. 오르는 길에 망향탑(望鄕塔)이 있다. 망향탑은 단종이 왕비를 그리워하며 직접 돌로 쌓아 만든 탑이라고 한다. 단종의 슬픈 마음이 지금도 전해지는 듯하다. 망향탑을 지나 전망대에 올랐다. 전망대에서 멀리 바라보며 심호흡을 하였다. 망향탑에서 내려오며 노산대(魯山臺)까지 왔다. 단종은 이곳에서 한양 쪽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단종은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복위되기 전까지 노산군(魯山君)으로 불리어 안타까운 마음을 사람들에게 전하였다.

길을 내려와 금표비를 만났다, 금표비는 금지나 경고의 뜻을 담아서 세원 비석이다, 단종이 있던 곳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워진 금표비는 아무나 드나들 수 없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돌아 나오기 위해 다시 배에 올랐다. 배가 없으면 나올 수 없는 곳 청령포에서 단종임금이 지금도 슬픈 모습으로 바라보고 있는 듯하다. 돌아 나온 입구에서 단종과 단종비 정순왕후의 동상을 볼 수 있었다. 동상을 바라보니 안타까움이 몰려왔다.


● 단종(端宗, 1441- 1457)은 조선의 제6대 국왕이다. 1455년 숙부 세조의 정변으로 양위하였다가, 세조 측근들의 탄핵으로 영월 청령포로 유배되었다가 사사 혹은 교살되었다. 시호를 받지 못한 채 노산군(魯山君)으로 불리다가 숙종 대에 노산대군(魯山大君)으로 진봉(進捧)되었고, ‘예(禮)를 지키고 의(義)를 잡는다’라는 뜻의  단종(端宗)으로 묘호가 정해졌다. 조선왕조의 임금 중 유일하게 국장을 제때 치르지 못한 왕이기도 하다. 승하한 지 550년 만인 2007년에 단종의 능이 있는 강원도 영월에서 국장이 치러졌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세조(世祖, 1417-1468)는 조선의 제7대 국왕이다. 세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나 문종 사후에 조카인 단종이 즉위하자 단종을 폐위시키고 즉위하였다. 조선에서 최초로  왕세자를 거치지 않고 즉위한 임금이자, 정변을 일으켜 즉위한 군주이기도 하다. 1453년에 계유정난을 일으켜 김종서, 황보인 등 권신들을 주살하고 정권을 잡았으며, 1455년에 단종을 폐위시키고 왕위를 찬탈하였다. 1456년에 단종의 복위를 도모한  사육신(死六臣)을 죽인 후 단종 또한 죽였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는 1454년 단종과 혼인하여 왕비가 되었고 단종이 승하한 후 종로구 숭인동 청룡사 근처에 초암(草庵)을 짓고 살았으며 동망봉(東望峯)에 올라 단종을 그리워하며 생을 살다 1521년 81세의 나이로 생을 마무리하였다. (동상의 글귀에서)

'국내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월 관광센터  (0) 2025.05.14
장릉  (1) 2025.05.12
영월의 거리  (0) 2025.05.07
김삿갓 문학관  (1) 2025.05.05
해망굴  (1) 2025.05.02